외부 로드밸런서와 내부 로드밸런서의 차이점
IT 정보2023. 11. 1. 10:04
1. 외부 로드밸런서
- 퍼블릭 서브넷에 위치한다.
- 외부 로드밸런서의 DNS 이름은 퍼블릭 IP 주소이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.
- 외부 인터넷으로 들어온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라우팅한다.
2. 내부 로드밸런서
- 프라이빗 서브넷에 위치한다.
- VPC 내 클라이언트의 요청만 라우팅한다.
- 모두 프라이빗 IP 주소를 가지며 받은 요청을 내부로 라우팅한다.
- 퍼블릭 IP 주소가 없어도 요청을 받을 수 있다.
'IT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패스트캠퍼스와 함께 성장한 2023년.. 그리고 수강 후기 (0) | 2023.12.01 |
---|---|
AWS 3-Tier 아키텍처 (0) | 2023.11.06 |
머신러닝 알고리즘 종류 (1) | 2023.10.30 |
Windows 10에서 curl 명령어 사용 설정하는 방법 (0) | 2021.10.20 |
Windows 10에서 WSL2 설치 후, Ubuntu 구동하는 방법 (0) | 2021.09.09 |
댓글()